FAQ

네버랜드가 왜 필요한가요?

달러에 고정된 스테이블 코인은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 대비 변동성이 없기에 암호화폐에서 필수적인 요소가 되었습니다. 사용자들은 스테이블 코인을 사용할 때 항상 동일한 벨류에이션을 가진다고 생각하지만, 이것은 잘못된 생각입니다. 달러는 미국 정부와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eral Reserve)에 의해 통제되고 있으며, 달러의 가치가 떨어지면 스테이블 코인의 가치 또한 동일하게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네버랜드는 HOOK 라고 불리는 고정되지 않은(non-pegged) 유동 준비 통화를 사용해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합니다. 네버랜드는 토큰 가격의 상승보다 공급량 증가에 초점을 맞춰서 HOOK 토큰이 시장 변동성에 상관없이 벨류에이션을 유지할 수 있는 통화로 기능하도록 만들 것입니다.

HOOK 토큰은 스테이블 코인인가요?

HOOK 토큰은 페깅되는 것이 아니라 1 KUSDT에 지지됩니다. 금고 자산의 실질가치로 HOOK 토큰을 지지하기 때문에, 프로토콜은 HOOK 토큰의 가격을 1 KUSDT 위로 지지해줄 수 있습니다. 페깅(Pegging)은 1 달러에 고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만, 지지(Backing)는 프로토콜이 HOOK 토큰의 가격에 상한을 두고 있지 않기 때문에, 1 달러보다 같거나 클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초기 HOOK 토큰의 내재 가치는 1 KUSDT 이지만, 실제 가격은 항상 1 KUSDT에 프리미엄을 더한 값이며, 이것은 결국 시장에 달렸습니다.

HOOK 토큰은 고정되지 않고, 지지됩니다.

각 HOOK는 페깅되는 것이 아니라 1 KUSDT에 지지됩니다. 금고 자산의 실질가치로 각 HOOK를 지지하기 때문에, 프로토콜은 HOOK의 가격을 1 KUSDT 위로 지지해줄 수 있습니다. Pegging 은 1 달러에 고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만, 지지(Backing)은 프로토콜이 HOOK 가격에 상한을 두고 있지 않기 때문에, 1 달러보다 같거나 클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초기 HOOK 의 내재 가치는 1 KUSDT 이지만, 실제 가격은 항상 1 KUSDT에 프리미엄을 더한 값이며, 이것은 결국 시장에 달렸습니다.

네버랜드는 어떻게 작동하나요?

네버랜드는 프로토콜이 관리하는 금고와 유동성, 민트 메커니즘 그리고 공급량 확대를 조절하기 위해 설계된 높은 스테이킹 보상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민트를 통해 수익을 창출하고, 금고는 창출된 수익을 이용해 HOOK토큰을 발행해 스테이커들에게 분배합니다. 또한 프로토콜은 HOOK LP 자산을 금고로 받아 유동성을 축적해서 시스템의 안정성을 확보합니다.

(3,3)은 무엇이고 (1,1)은 무엇인가요?

(3,3)이란, 게임이론의 관점에서, 네버랜드의 참여자들이 다 같이 스테이킹을 한다면, 모두에게 가장 큰 이익을 가져 줄 수 있다는 아이디어 입니다.

현재 사용자가 취할 수 있는 행동은 3 가지가 있습니다:

  • 스테이킹 (+2)

  • 민팅 (+1)

  • 판매 (-2)

스테이킹과 민팅은 프로토콜에 이익을, 판매는 손실을 줍니다. 스테이킹과 판매 모두 가격 변동에 영향을 주지만, 신규발행은 그렇지 않습니다.

스테이킹을 위해서는 시장에서 HOOK토큰을 시장에서 구매해야 한다고 전제 하였습니다

두 명의 참여자가 있을 때, 서로의 행동이 프로토콜에게 이익이 된다면, 가격을 움직인 참여자는 그로 인한 이익의 절반을 얻는 셈이 됩니다(+1). 만약 두 행동이 반대로 이뤄진다면, 가격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 참여자가 이익을 얻지만(+1), 긍정적 참여자는 손실을 얻습니다(-1). 만약 두 참여자가 판매로 인해 모두 손해를 준다면, 모든 참여자는 손실을 얻게 됩니다(-1).

예를 들면, A는 스테이킹, B는 판매를 하게 된다면, A는 스테이킹으로 +2, B는 판매로 -2이나, 서로 다른 행동으로 A는 손해를 입어 -1, B는 +1 을 얻게 됩니다.

즉, A는 +2 - 1 = 1, B는 -2 + 1 = -1 → ( 1, -1 ) 이 되는 것입니다.

이를 토대로 두 참여자가 있다고 가정했을 때, 그들이 취할 수 있는 행동과 프로토콜에 가할 수 있는 시나리오를 아래의 그림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둘 다 스테이킹을 한다면(3,3), 참여자와 프로토콜에 가장 좋은 영향을 끼칩니다. (3 + 3 = 6).

  • 한 명이 스테이킹을 하고 다른 한 명이 민팅을 한다면, 스테이킹은 HOOK토큰을 시장에서 분리시켜 프로토콜에 넣고, 민팅은 유동성과 KUSDT를 금고에 제공하기 때문에(3 + 1 = 4), 참여자와 프로토콜 모두에게 이익입니다.

  • 한 명이 팔면, 스테이킹이나 민팅을 하는 다른 사람의 노력이 상쇄됩니다 (1 - 1 = 0).

  • 양쪽이 모두 판매하면, 참여자와 프로토콜에 가장 나쁜 결과를 가져옵니다 (-3 - 3 = -6).

PCV는 왜 중요한가요?

PCV는 protocol controlled value의 약자로 프로토콜이 소유하는 자산의 가치를 뜻합니다. 프로토콜이 금고 자금을 관리하기 때문에, HOOK 토큰은 프로토콜에 의해서만 발행되거나 소각될 수 있습니다. 이는 또한 프로토콜이 1 HOOK 토큰을 1 KUSDT 로 지지하도록 만들 수 있도록 보장합니다. 유저들은 프로토콜이 금고의 자산을 사용해서 HOOK 토큰을 1 KUSDT 로 지지할 것이라는 것을 확신할 수 있기 때문에, 투자의 위험을 사전에 쉽게 가늠할 수 있습니다. FED(연방준비제도)는 신뢰할 수 없지만, 코드는 신뢰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프로토콜이 더 많은 PCV를 축적해 나가면서, 스테이커들에게는 더 많은 런웨이(runway)가 보장됩니다. 즉, 금고가 더 많은 자금을 보유할수록 스테이커들은 현재의 APY가 더 오랜 기간 동안 지속될 것을 확신할 수 있고 시장의 선순환을 야기시킵니다.

유동성을 프로토콜이 소유하는 것이 왜 중요한가요?

네버랜드는 민팅 메커니즘 덕분에 대부분의 유동성을 자체적으로 소유하고 있습니다. 여기에는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습니다.

  • 유저들이 유동성을 만들도록 유도하기 위해, 높은 채굴이자를 제공할 필요가 없습니다.

  • 프로젝트가 지속되는 한 유동성이 유지되어 언제든 매수/매도할 수 있습니다.

  • 최대 유동성 공급자로써, Swap Fee를 이용해 금고 자산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 모든 유동성은 HOOK 토큰을 지지하는데 사용됩니다.

HOOK 토큰 가격은 왜 변동성이 큰가요?

Olympus를 포함한 DeFi 2.0 프로젝트들의 개발은 아직도 초기 단계에 있습니다. 가격 또한 현재까지도 수많은 논의가 오가고 있고, 이런 논의가 긍정적 합의를 이루어 나갈수록 가치는 안정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지만, 가격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아직 많습니다. HOOK 토큰은 공급의 증가에 맞춰 조절되고 있으며, 이는 네버랜드의 스테이킹과 민팅 그리고 이자를 주는 구조와 맞물려 있기 때문에, 일정량의 변동성을 야기할 수밖에 없습니다. 높은 이자율로 인해 시장 참여자들은 프리미엄을 지불하고도 매수할 용의가 있기 때문에 HOOK토큰은 높은 가격에 거래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시장의 심리가 약세로 돌아서면 HOOK 토큰의 가격은 크게 떨어질 수도 있습니다. 프로젝트가 성장하는 기간 동안 상당한 가격 변동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니, 스스로 상세히 알아보고 고민한 후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HOOK 토큰을 높은 프리미엄을 주고 매수할 필요가 있나요?

HOOK 토큰을 구입하고 스테이킹 하는것은, 시가총액의 일부를 점유한다는 것이고, 이는 스테이킹 이자로 인해 늘어나기 때문에 시가총액이 늘어남에 따라 보유가치도 같이 증가됩니다. 즉, 시가총액이 낮을 때 먼저 HOOK 토큰을 구입한다면 시가총액의 더 많은 부분을 점유할 수 있게 되며, 추후 큰 수익을 볼 가능성을 더 높힐 수 있기에 프리미엄을 주고도 구입할 이유가 되는 것입니다.

리베이스(rebase)란 무엇인가요?

프로토콜에서 새 HOOK 토큰이 발행되면, 그 중 상당 부분이 스테이커들에게 배분됩니다. 이때 HOOK 토큰은 스테이킹 컨트랙트에 예치돼 늘어나며, 유저들은 CLOCK 토큰(스테이킹된 HOOK토큰) 을 가지게 되는데, 1 CLOCK = 1 HOOK 의 비율을 지키기 위해, CLOCK 토큰의 개수는 자동으로 증가하게 되며, 이를 리베이스라 합니다.

보상 이자(reward yield)란 무엇인가요?

보상 이자란 CLOCK 토큰 잔고가 다음 이자지급시기(epoch)에 얼마나 증가하는지를 나타내는 비율입니다. 이것은 리베이스 비율(rebase rate)이라고도 불립니다. 이 숫자는 네버랜드 스테이킹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APY는 무엇인가요?

APY는 Annual Percentage Yield의 약자로 '연 복리 이율'을 뜻합니다. 네버랜드의 경우 리베이스 메커니즘 덕분에 복리 이자가 매 이자지급시기인 8시간마다 주기적으로 추가 됩니다. 매일 복리 이자가 2% 이고 첫 날 1 HOOK로 시작했다면, 1년 뒤 당신의 잔고는 대략 1,377 HOOK 가 될 것입니다.

APY는 어떻게 계산하나요?

APY는 보상 이자(리베이스 비율)을 활용하여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APY=(1+보상이자)3653APY = ( 1 + 보상 이자 )^{365*3}

리베이스는 하루 3 번 일어나기 때문에 총 1095번의 계산을 해야 합니다. 1년에 365일이 있다고 가정하면 리베이스 횟수는 365 * 3 = 1095가 됩니다.

보상 이자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보상이자=배분되는HOOK/총스테이킹된HOOK보상 이자 = 배분되는 HOOK/ 총 스테이킹 된HOOK

스테이킹에 따라 배분되는 HOOK토큰의 갯수는 HOOK토큰의 총 공급량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배분되는HOOK=총공급HOOK×보상비율배분되는 HOOK = 총 공급 HOOK \times 보상비율

보상 비율은 프로토콜에 의해 변동될 수 있습니다.

장기적으로 볼 때 HOOK의 가격이 중요하지 않은 이유는 무엇인가요?

위에서 설명했듯이 여러분의 HOOK 토큰 잔고는 복리 적립의 힘으로 시간이 지날수록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게 됩니다. 만약 $400을 주고 1 HOOK토큰을 구입한 뒤, 시장이 판단하는 1년 후 HOOK 토큰의 내재 가치가 $2가 일 경우를 가정해 보겠습니다. 여기에 매일 복리 이자율이 2%라고 가정했을 때, 1년이 끝나는 시점의 HOOK 토큰잔고는 대략 1,377개가 되며 $2,754의 가치를 갖게 됩니다. $2,354 의 수익을 내게 된 것입니다.

HOOK 토큰의 프리미엄은 장기적인 수익을 위해 지불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HOOK 토큰 잔고를 기하급수적으로 늘리고 이 투자를 의미있게 만들기 위해서는 장기적인 여유를 가져야 합니다.

미래에 HOOK의 내재가치는 어떻게 될까요?

예측하기는 매우 어렵습니다만, 이는 금고 자산의 퍼포먼스에 따라 결정될 것입니다. 예를 들면 금고자산이 각 HOOK 토큰을 100 KUSDT로 지지할 수 있다면, HOOK 토큰의 내재가치는 100 KUSDT가 될 것입니다.

프로토콜이 어떻게 높은 APY를 유지하나요?

프로토콜이 1,000,000%의 APY 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하루 리베이스 비율이 약 2.56%가 되어야 합니다. 만약 100,000 개의 HOOK 토큰이 스테이킹 되어 있다면, 하루에 2,555개의 HOOK 토큰을 추가로 지급해야 되는 셈이죠. 민팅을 위해 하루 평균 $2,555의 자산이 금고로 입금 된다면 가능한 수치입니다.

이는 초기에 많은 자금을 금고에 축적해 놓았다면 이후 일정 기간 입금액이 적더라도 이자를 유지할 수 있다는 말이며, 반대로 만약 입금액이 미달되면 이자율을 줄여 유지 기간을 늘릴 수도 있다는 의미입니다.

리베이스 보상을 받기 위해서 매 이자지급시기(Epoch) 마다 HOOK를 다시 스테이킹 해야 하나요?

아닙니다. 네버랜드에서 한 번 HOOK 토큰을 스테이킹 하고 나면, 스테이킹된 HOOK 토큰의 잔고는 매 이자지급 시기인 8시간마다 자동으로 복리 적립됩니다. 여러분의 리베이스 보상은 CLOCK 토큰 잔고 증가분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내 리베이스 보상을 어떻게 추적할 수 있나요?

지갑의 CLOCK 토큰 잔고가 얼마나 증가했는지를 통해 HOOK토큰의 리베이스 보상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처음 HOOK토큰을 스테이킹 할 때, 스테이킹 페이지에 있는 현재 인덱스(Current index) 값을 기록해 두세요. 이것을 시작 지표(Index) 로 삼습니다.

  2. 스테이킹 후 일정 시간이 지난 뒤, 잔고가 얼마나 증가했는지 알아보고 싶다면, 현재 인덱스를 다시 한 번 확인해 보세요. 이것을 종료 지표로 삼습니다.

  3. 종료 지표를 시작 지표로 나눠 보세요, 여러분의 스테이킹된 HOOK토큰이 얼마나 증가했는지 비율을 알 수 있습니다.

리베이스증가비율=종료지표/시작지표리베이스 증가 비율 = 종료 지표 / 시작 지표

왜 본딩(bonding)이 아니라 민팅(Minting)이라고 하나요?

일반인들은 채권의 거래나 발행에 익숙하지 않고, 특히 암호화폐에 투자하는 사람들은, 토큰을 발행한다라는 의미인 민트(Mint)라는 단어가 더 익숙할 것으로 생각되어, 네버랜드는 본딩(Bonding) 대신 민팅(Minting) 이라는 단어를 사용했습니다. 이름은 다르지만, 신규발행(Minting)은 OlympusDAO의 본딩과 동일하게 작동합니다.

Last updated